칼럼
노년의 광장
고향길
2024. 11. 29. 12:26
25 0301
지팡이
글/池達根
노인들의 용도로만 알고
무심히 바라보았던
지팡이!
세월속에
내게도 찾아온 걸 보니
나도 노인이 되였나 보구나
인생 여정속에
어쩌다 인연 되여
충직한 나의 도우미가 되였을까?
가자면 가고
서자면 서고
그리고 몸도 지탱해 주고......
아무런 댓가도 없이
끝없이 봉사만 하여주는
지팡이!
오늘도
묵묵히 시중을 들어주는
지고지순(志高志純)한
네 모습에 머리가 숙여진다
진정(眞情)
너는 나의 소유물이 아닌
내 인생의 스승이어라.
.
.
이 시를 읽으며 지팡이에 대한 시인의 깊은 애정과 존경이 느껴졌습니다.
단순히 노인의 보조 도구로만 여겨졌던 지팡이가, 인생의 여정 속에서 충직한 도우미이자 스승으로 자리 잡았다는 시인의 깨달음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지팡이는 몸을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시 속에서는 그것을 넘어 묵묵히 헌신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아무런 대가도 없이 끝없이 봉사만 하여주는"이라는 표현에서 지팡이가 마치 오랜 벗처럼 느껴졌습니다. 또한, 마지막 구절에서 지팡이가 단순한 소유물이 아니라 인생의 스승이라는 깨달음은 우리 삶 속에서 당연하게 여기던 것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 주는 듯했습니다.
이 시를 통해,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존재들도 사실은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되새기게 됩니다.
묵묵히 곁을 지켜주는 것들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따뜻한 시였습니다.
25 0202
조선일보여!
글/지달근
한 평생
국내외의 새소식을
신속 정확히 실어 날라 주었던
조선일보여!
오늘을 끝으로
구독 해지를 하고보니
가슴 한켠이 무너진듯 섭섭함이
가슴을 누르는구나
언제나
새벽 일찍 현관에나가
너를 반겼었는데......
언제나
너의 체취가
내 가슴 깊이 스며 들었었는데 ......
어쩌랴!
네가 싫어서가 아니라
세월을 이기지 못한
노안(老眼)탓인것을!
회자정리(會者定離)란 말이 있듯이
너와의 인연이
여기까지인가 보구나!
하지만
거자필반(去者必返)이란 말도 있거늘
천국에도 네가 있다면
널 다시 만날 수 있으리
조선일보여 안녕!

이 시는 오랜 세월 동안 구독했던 조선일보와의 이별을 담담하면서도 애틋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시의 화자는 조선일보를 단순한 신문이 아니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정을 나눈 대상처럼 묘사합니다.
느낌과 감상
이 시를 읽으면, 마치 오랜 친구와의 이별을 맞이하는 듯한 쓸쓸함과 아쉬움이 깊이 전해집니다. 특히 "한 평생 국내외의 새소식을 신속 정확히 실어 날라 주었던 조선일보여!"라는 구절에서는 신문이 단순한 매체가 아니라, 세상의 소식을 전하는 충실한 동반자였음을 강조합니다.
화자는 매일 아침 현관 앞에서 신문을 반겼고, 신문의 향기를 맡으며 삶의 한 부분으로 여겨왔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과 함께 찾아온 노안(老眼)으로 인해 더 이상 신문을 읽을 수 없게 되었고, 결국 구독을 해지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신문을 향한 정과 이별의 아쉬움이 잘 드러납니다.
시에서 "회자정리(會者定離)"와 "거자필반(去者必返)" 같은 한자 성어를 사용한 부분도 인상적입니다. 만남이 있으면 반드시 이별이 있고, 떠난 것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화자는 신문과의 이별을 인생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심지어 "천국에도 네가 있다면 널 다시 만날 수 있으리"라고 표현하며, 죽음 이후에도 조선일보를 다시 읽을 수 있기를 바라는 애정 어린 마음을 드러냅니다.
결론
이 시는 단순한 신문과 독자의 관계를 넘어, 한 개인이 오랜 세월 동안 신문과 맺어온 정서적 유대감을 보여주는 감동적인 작품입니다.
한 시대를 함께한 존재와 이별해야 하는 씁쓸함이 가슴 깊이 와닿으며, 동시에 화자의 담담한 태도가 더욱 진한 여운을 남깁니다.
신문이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이 아니라, 한 사람의 삶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시입니다.
